법적 주요 용어 정리 -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간다.
1. 검시 :
a. 경찰이나 검찰이 수사 목적으로 변사체 및 현장을 조사하는 것
b. 검시에 입회하거나 감정을 의뢰받아 의사가 사망을 확인하고, 시체에 대해 조사하는 것 - 검안, 부검
2. 검안 :
시체를 훼손하지 않고 의학적으로 검사하는 일. 검안의사는 검시에 입회하거나 또는 입회하지 않은 경우라도 검안의 목적과 시체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자세한 외표검사로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망의 원인, 손상정도, 질병유무, 중독 유무를 결정한다. 가능하다면 사망의 기전과 사망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해야한다.
*기전 :
3. 부검 : 시체를 해부해 검사로 사인을 알아내려는 것. 부검상황에서 시체가 훼손되면 법적 규제를 받음. 부검은 목적에 따라 계통부검, 병리부검, 행정부검, 사법부검으로 나뉨.
*병리부검
*행정부검
*사법부검
4. 해부 : 시체를 절개하여 장기나 조직을 적출하거나 채취하는 행위 자체를 의미. 일본의 영향으로 해부와 부검을 혼용하는 경우가 있음
5. 안락사 : 편안한 죽음
6. 존엄사 : 인간이 최소한의 품위와 가치를 지키면서 죽을 수 있게 하는 행위.
7. 가사 : 외견상으로 호흡과 맥박이 멈춰 죽은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살아날 가능성이 있는 상태
8. 뇌사 : 뇌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
9. 줄기세포 : 크게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로 나뉨. 배아 줄기세포는 여러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넓지만, 생명의 씨앗인 배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성체 줄기세포는 특정 조직으로만 분화할 수 있어 제한적이지만, 윤리논쟁에서 자유로운 편이다..